마진 레벨이 0%에 도달하면 스톱 아웃이 발생하고 시스템이 포지션을 자동으로 청산하여 추가적인 손실을 방지합니다. 레버리지가 거래계약 잔여금을 결정하므로, 레버리지는 스톱 아웃에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레버리지는 매수력뿐만 아니라 위험도 높입니다.
- 더 높은 수준의 레버리지: 주문을 개설하는 데 필요한 거래계약 잔여금이 더 적습니다. 즉, 더 적은 돈으로 더 많은 양을 트레이딩할 수 있지만 주문이 시장 변동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스톱 아웃이 발생할 위험이 커집니다.
- 더 낮은 수준의 레버리지: 주문을 개설하는 데 필요한 거래계약 잔여금이 더 많습니다. 매수력은 제한되지만 시장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져 스톱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.
예
더 높은 수준의 레버리지(1:500)
계좌에 100 USD를 보유하고 레버리지가 1:500인 경우 50,000 USD 규모의 트레이딩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(100 USD × 500 = 50,000 USD). 이 트레이딩에 필요한 거래계약 잔여금은 100 USD이며 잔여 편일예탁잔고는 없습니다. 시장이 트레이딩에 불리한 방향으로 1% 움직이면 손실액은 500 USD가 됩니다(50,000 USD의 1%). 계좌에 100 USD밖에 없다면 손실은 100 USD로 제한됩니다. 편일예탁잔고가 0 USD로 하락하면 마진 레벨이 0%로 떨어져 스톱 아웃이 발생합니다.
더 낮은 수준의 레버리지(1:50)
계좌에 100 USD를 보유하고 레버리지가 1:50인 경우 5,000 USD 규모의 트레이딩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(100 USD × 50 = 5,000 USD). 필요한 거래계약 잔여금은 동일하게 100 USD지만, 트레이딩 규모는 더 작습니다. 시장이 트레이딩에 불리한 방향으로 1% 움직이면 손실액은 50 USD가 됩니다(5,000 USD의 1%). 손실이 발생한 후 편일예탁잔고는 50 USD가 되고 마진 레벨은 50%가 됩니다. 마진 레벨이 0%보다 높으므로 스톱 아웃이 발생하지 않으며, 트레이딩은 개설된 채로 유지됩니다.